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12년 국가정보원 여론 조작 사건을 아시나요? 장강명 작가의 동명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는 영화 댓글부대는 여론 조작 사건을 포함하여 실제로 일어났던 사건들을 모티브로 하여 제작되었습니다. 이 영화는 실화와 허구가 교묘하게 섞여 영화 막바지에는 관객들을 더 혼란스럽게 만드는 것이 가장 큰 관람포인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쿠팡플레이, 왓챠, 넷플릭스 등 다양한 OTT 채널에서도 시청할 수 있습니다. 댓글부대 바로 시청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채널로 바로 이동합니다. 

     

     

     

     

    1. 영화 댓글부대 예고편

    댓글부대 예고편

     

     

     

     

    2. 영화 댓글부대 실화배경

    댓글부대 실화배경댓글부대 실화배경댓글부대 실화배경

     

    영화 댓글부대의 본격적인 스토리는 작은 중소기업 우성데이터가 만전의 행포로 입찰에 떨어져서 결국 수억 원의 빛을 떠안게 되어 임상진 기자(손석구)가 이 사건을 취재하는 내용으로 시작됩니다.

    이 사건은 실제 일어났던 일입니다. 극 중에서 우성데이터는 실제로 포스데이타 기업이며, 만전은 삼성 SDS를 의미하는데 2004년 당시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 자동 통행로 징수시스템 입찰 방해 사건을 다룬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삼성 SDS 직원 2명이 포스데이타 기능 테스트 장소에 가서 방해 전파를 쏘아 입찰을 방해하여 징역을 받은 사실이 있습니다. 

     

    극에서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임상진 기자(손석구) 역시 실제로 한 포털사이트(마이기레기닷컴)에서 신상이 공개되며 네티즌들에게 조롱과 멸시를 당하는 기자들을 모티브로 한 인물입니다. 

     

    극 중에 가장 중요하게 언급되는 만전의 여론전담팀 또한 실제로 성에는 정규직으로 일하는 댓글부대 150여 명 정도가 있다는 김용철 변호사의 폭로를 모티브로 영화가 만들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찻탓캇(김동휘) 일행이 처음 여론 조작의 길로 들어서는 계기가 되는 담배 광고 의뢰는 실제로 2014년 KT&G 기업의 신형 담배 바이럴 광고 의혹에서 가져온 것으로 보입니다. 

     

    3. 영화 댓글부대 결말 해석

    댓글부대 결말해석댓글부대 결말해석댓글부대 결말해석
    출처 : 네이버 스틸컷

    영화 댓글부대는 "완전한 진실보다 거짓이 섞인 진실이 더 진짜 같다"라는 메시지를 관객들에게 던지며 해피엔딩도, 새드엔딩도 아닌 여러 해석이 가능한 이야기로 끝이 납니다. 그래서 개봉당시 호불호가 갈린 게 아닌가 싶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생각이 들게 하는 영화를 즐기신다면 굉장히 추천하고 싶은 영화입니다. 

     

    더 자세한 영화 댓글부대 결말 해석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